아파치 톰캣 8.5 설치하기(Apache Tomcat)
아파치 톰캣(Apache Tomcat)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Web Application Server)다.
아파치 톰캣은 웹 서버(Web Server)와 연동되는 자바 환경을 제공해서, JSP(Java Server Pages)와 Java Servlet 실행 환경인 서블릿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다. 즉, java 언어로 웹을 구동하게 해 주는 서버다.
그리고 이 아파치 톰캣이 아닌 그냥 아파치 서버는 웹 서버를 담당하고 있다. 그럼 WAS와 웹 서버의 차이점은 뭘까?
웹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고 HTML, CSS 등의 정적 데이터만을 처리한다. 동적 데이터도 처리하기 위해서는 Java Servlet이나 JSP가 필요한데, 그걸 가능하게 하는 것이 WAS이다.
WAS가 웹 서버를 포함하고 있으니 WAS만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 하면, 동적 데이터 없이 정적 데이터만 처리할 경우, 웹 서버를 사용하는 것이 더 빠르다.
또한 이 톰캣도 버전이 여러 가지인데, 내가 듣는 수업에서는 가장 많이들 쓰는 아파치 톰캣 8.5 버전을 사용했다.
Apache Tomcat 설치
다운로드
먼저 인터넷 주소창에 tomcat.apache.org 를 검색해, 사이트 좌측 Download 목록에서 Tomcat 8을 눌러준다.
그리고 아래쪽 8.5.73 - Binary Distributions - Core 부분에서 필요한 버전을 다운로드한다. 나는 32-bit/64-bit Windows Service Installer 버전을 받았다.
다운로드를 하고 나서 exe 파일을 열어 설치를 진행하다 보면 도중에 아래와 같은 창이 뜬다.
기본으로 사용할 서버의 포트(8080)와 서버 강제 종료 시 사용할 셧다운 포트 설정창인데, 셧다운 포트가 -1일 땐 이 기능을 사용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보통은 8005로 두고 사용하지만 두 포트 모두 다른 번호로 설정 가능하다.
설치가 끝난 후 Program Files - Apache Software Foundation - Tomcat 8.5 - bin 에 들어가 Tomcat8w.exe 파일을 찾아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창이 뜨고, 여기서 stop을 눌러준다.
stop을 하는 이유는 내가 곧바로 톰캣서버를 사용할 것이 아니기 때문이고, 서버를 사용할 때 다시 start 할 수 있다.
이렇게 아파치 톰캣도 설치가 완료됐다. 이제 데이터베이스(DB) 부분을 제외하면 Java로 웹을 구동할 준비가 끝났다. DB는 리눅스에서 작업을 할 거라 가상 PC를 먼저 설치한 후 진행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