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SQL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한 종류이며 1순위인 오라클(Oracle)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시스템이다. 내가 듣는 DB 수업에서는 리눅스/Oracle을 사용하지만, JSP 수업에서 윈도우/MySQL을 쓰기 때문에 MySQL을 설치해볼 것이다.
먼저 주소창에 www.mysql.com 을 쳐서 홈페이지에 들어가, 아래 보이는 DOWNLOADS를 누른다.
그리고 화면을 조금 내려 MySQL Community (GPL) Downloads 를 누르고 원하는 것을 선택하면 되는데, 나는 MySQL Installer for Windows를 받았다.
여기서 Archives를 선택하면 다운로드할 버전을 고를 수 있지만, 나는 최신 버전의 전체 파일이 필요하기 때문에 아래 Download를 클릭한다. 그 후 다른 것은 무시하고 화면 하단에 작게 있는 No thanks, just start my download 를 누르면 설치가 된다.
다운로드가 끝나면 파일을 실행시켜서 아래에 보이는 Developer Default 선택 후 next, 그리고 excute를 눌러준다.
어떤 창이 뜨는 것은 동의해주고, 맨 위에 MySQL Server가 설치됐는지 확인한 뒤 next, 뜨는 창은 yes를 하고 다시 excute 하면 된다. excute가 끝나면 계속 넘기다가 Type and networking 화면에서 포트번호(3306)를 체크한다. 또다시 넘겨주고 아래 화면에서 root 비밀번호와, Add User를 눌러 내가 사용할 유저 id와 pw를 설정한다. 참고로 root pw와 유저 pw는 다르다.
계속 next 하고 excute, excute가 끝나면 다시 넘기고, 아래 화면이 뜨면 root 비밀번호를 친 후 check를 눌러서 Connection succeeded가 뜨는 것을 확인해줘야 한다.
체크가 됐으면 next, excute 하고 완전히 끝날 때까지 넘겨주는 것으로 설치가 완료된다.
그럼 이제 시작 메뉴에 보이는 Command Line Client 에 들어가 root 비밀번호를 쳐서 접속을 할 수 있는데, 거기서 status를 치면 설치 경로가 보인다.
MySQL을 이 커맨드 라인뿐만 아니라 윈도우 cmd(명령 프롬프트)에서도 실행하려면 java 설치 때처럼 환경변수를 설정해야 한다. 먼저 파일 탐색기에서 내PC 우클릭 - 속성 - 고급 시스템 설정 - 환경 변수 - 시스템 변수의 Path 더블클릭 - 새로 만들기 - 찾아보기를 눌러준 뒤, 아까 확인했던 경로대로 들어가면 bin 파일까지 지정할 수 있다. 그렇게 완료한 후에는, cmd 창에 mysql -u root -p 를 쳤을 때 MySQL로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Study > Set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 PC 설치하기(Virtual Box) (0) | 2021.12.30 |
---|---|
아파치 톰캣 8.5 설치하기(Apache Tomcat) (0) | 2021.12.28 |
이클립스 설치하기(Eclipse - Java EE) (0) | 2021.12.27 |
자바 설치하기(Windows 10/Java SE 8) (0) | 2021.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