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Setup

이클립스 설치하기(Eclipse - Java EE)

자바가 설치됐어도 개발을 하려면 환경이 있어야 한다.

이클립스는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의 하나로, java로 개발을 하는 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물론 다른 버전에서는 C언어나 PHP 언어로도 개발이 가능하다.

단순히 메모장에 코드를 써넣고 java 파일로 만들어도 구현이 가능하지만, 이클립스에서는 반복되는 코드를 일일이 적지 않아도 되거나 오류 난 부분을 바로 찾을 수 있고, 컴파일러와 디버거, 인터프리터 등 코딩에 필수적인 장치들이 모두 들어있다.

프로그램 하나로 복잡한 작업들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니 당연히 필수라고 할 수 있다.

여러 IDE 중 이클립스가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내가 듣는 수업에서도 이클립스를 사용하는데, 이클립스도 많은 버전이 있기 때문에 잘 선택해서 다운로드해야 한다.

본 게시글에서는 두 가지 Java EE 버전을 설명할 것인데 첫 번째는 Eclipse IDE for Enterprise Java and Web Developers(2021-12 R), 두 번째는 Eclipse IDE for Java EE Developers(Neon 3)이다.

앞의 2021-12 버전은 java와 Web HTML 코드 학습용이고 뒤의 Neon 버전은 JSP의 HTML 코드 학습용이다. 둘의 차이는 2021-12 버전은 최신이고 Neon 버전은 오래된 만큼 안정적이라는 점이다.

두 버전의 설치 방법은 비슷하기 때문에 본 게시글에서 한번에 설명한다.

 

이클립스(Eclipse) 설치

1. 다운로드

먼저 사이트를 찾는다. java 때 처럼 주소창에 바로 eclipse.org 라고 치면 들어가진다.

여기서 오른쪽 상단의 Download를 눌러 주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뜨는데, 다운로드 링크를 바로 누르지 않고 Download Packages로 들어간다.

그럼 이클립스의 많은 버전들을 볼 수 있고, 이 중 내가 다운 받을 버전은 아래의 버전이다. 그리고 화면 하단 좌측에 보이는 Older Versions를 눌러 Neon - 3 Packages를 들어가면 나오는 버전도 다운로드한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때는 항상 운영체제와 bit를 잘 살펴볼 것!

2021-12 R 버전

 

Neon 버전

파일을 다 받은 후에는 압축을 풀고, 아래와 같이 보이는 실행파일을 열어준다.

그럼 아래쪽에 보이는 창이 뜬다.

이 창은 workspace, 즉 이클립스에서 만든 파일들을 어디에 저장할 것인지 묻는 내용이다. 나는 C드라이브에 폴더를 새로 만들어 지정했다. 두 버전 이클립스는 각각 다른 곳에 지정하도록 한다. 자신이 원하는 대로 설정하고 Launch를 눌러 실행한다. 혹시 경로를 잘못 지정했다면 이클립스를 실행한 후 변경할 수 있다.

이클립스가 열리자마자 보이는 Welcome 창은 필요없으니 좌측 상단을 눌러 바로 꺼주고, 그 위에 File - Switch Workspace - Other 을 눌러주면 경로를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면 우측에 보이는 Outline과 Task List는 끄는 것이 편하다.

참고로 두 버전이 헷갈리지 않게 이클립스 파일 이름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좋다.

 

2. 이클립스 환경 설정

이클립스 설치를 완료했으니 이제 이클립스 내부 환경을 설정해야 한다.

먼저 화면 상단 목록 중 Window - Preferences 를 누른다. 여기서 필수로 설정해야 할 항목은 3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General - Workspace - Text file encoding을 UTF-8로 바꿔준다. MS949도 한글이 인코딩 되지만 국제 표준인 UTF-8이 더 적절하다.

다음은 Java - Compiler에 들어가서 Compiler complience level을 1.8로 설정한다. 이건 내가 설치한 java가 1.8버전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Java - Installed JREs - Add JRE - Standard VM 에서 JRE home을 내가 설치했던 jre 파일 경로로 설정해준 후 Apply and Close로 닫는다.

이 3가지는 이클립스 두 버전 모두 해당되지만 Neon 버전은 추가적으로 설정할 게 있다.

Web - CSS Files, HTML Files, JSP Files 3개 모두 Encoding을 UTF-8로 바꿔주면 된다.

더불어 원한다면 General - Appearance - Colors and Fonts - Basic - Text Font 를 들어가면 폰트 종류와 크기 등을 바꿀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기본적인 이클립스 설치와 환경 설정이 끝난다. 다소 복잡하고 설정할 게 많지만 필요한 작업이다. 이제 java와 이클립스 설치가 모두 끝났으니 java 코딩 준비는 완료됐다. 다음은 웹 서버 연동을 위한 아파치 톰캣(apache tomcat)과 리눅스 오라클 작업을 위한 가상 PC(Virtual Box) 설치가 될 것이다.

'Study > Setup'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SQL 설치하기  (0) 2022.01.30
가상 PC 설치하기(Virtual Box)  (0) 2021.12.30
아파치 톰캣 8.5 설치하기(Apache Tomcat)  (0) 2021.12.28
자바 설치하기(Windows 10/Java SE 8)  (0) 2021.12.27